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상세 == [[아크 생존자|인간 생존자]]의 스탯은 주변 생물들에 비하면 도도나 리스트로사우루스와 같은 소형 생물 수준으로 허약해 인간의 능력으로는 생존 및 진행이 어렵다. 생존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자신보다 더 높은 스탯과 고유한 특수능력들을 가진 생물들을 필수적으로 길들여 이를 이용하여 생존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생존자는 아무리 스탯을 올리고 각종 도구나 무기들을 사용하더라도 생물들이 발휘할 수 있는 효율보다 낮다. 물론 퍼센티지(%) 수치가 높은 도구들이라면 생각 외로 높은 효율을 낼 수 있으나 이미 이런 아이템들을 가진 상태라면 '생존과 발전을 하는' 단계에서 벗어난 상태이고, 결국 이런 상태까지 오기 위해서도 생물들이 필요하니 게임 진행에 있어서는 적어도 수 종의 생물들을 길들이는 것은 필수다. 설정상으로도 아크 내에 등장하는 생물들은 일부 종[* [[타이탄(ARK: Survival Evolved)|타이탄]]과 같은 인류에 적대적인 괴수들이나 [[에드먼드 록웰|록웰]]과 같은 사심을 위해 타락한 생존자와 같은 부류. 대체로 익스팅션부터의 최종보스들이다.]을 제외하면 '''생존자의 기술 발전''' 및 지구 역사의 보존을 위해 설계된 생물들로, 약 500종의 생물들 중 게임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생물들을 각자의 방식으로 조련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교배까지 할 수 있다. 생물의 노트를 자세히 보면, 해당 생물의 [[모식종]] 이름이 완전히 다르다는걸 알 수 있다. 예시로 [[스피노(ARK: Survival Evolved)|스피노사우루스]]는 실존했던 [[스피노사우루스|아이깁티아쿠스]]라는 종은 없고, 게임에만 등장하는 [[스피노(ARK: Survival Evolved)|아쿠아렐리가]]라는 종이 등장한다. 즉, 아크 내에 등장하는 모든 생물은 원래 형태의 생물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종이며, 그 때문에 기존 생물과 큰 차이를 보이는 종이 많다. [[티타노사우루스]]와 같이 크기가 심각하게 커졌거나, [[다에오돈]]과 [[유티라누스]]와 같이 초능력에 근접하는 능력이 생기는 등 완전히 새로운 종으로 재탄생한 경우들이 있다. 그러나 보스류를 제외한 맵에 나오는 '''모든''' 생물들을 길들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리드시크티스, 데스웜, 알파 생물들과 같은 생물들이나 메가네우라, 티타노미르마와 같은 작은 벌레류, 일부 동굴에서 스폰되는 최대 레벨 한도를 넘는 특수한 생물들은 종을 불문하고 조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는 밸런스적인 조치{{{-1 (리드시크티스)}}}거나 [[이탈 방지의 법칙]]{{{-1 (데스웜)}}}, 생존자의 수준을 시험하는 용도{{{-1 (동굴 생물, 알파 생물, 던전 보스)}}} 등 각 용도에 맞는 이유가 적용되어 있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2839><tablebgcolor=#fff,#000><tablecolor=#1aaab5><nopad> [[파일:800px-Dossier_Rex(new).png|width=450px]] ||<nopad> [[파일:그리핀 도감.png|width=450px]] || ||<rowbgcolor=#152839> [[티라노사우루스|{{{#1aaab5 고생물}}}]] 기반의 '''렉스'''{{{-1 (Rex)}}} || [[그리폰|{{{#1aaab5 환상종}}}]] 기반의 '''그리핀'''{{{-1 (Griffin)}}} || 맵을 막론하고 게임에서 나오는 생물들은 실존하는 [[고생물]][* [[티라노사우루스|렉스]], [[유타랍토르|랩터]], [[아르젠타비스]] 등]이나, 현존하는 동물들[* [[독수리]], [[칠성장어]], [[실러캔스]] 등]을 기반으로 각색된 생물들이 주를 이룬다. 다만 미래 기술로 재창조되었다는 배경 설정과 게임의 재미와 진행의 용이함을 위해 고생물학계에서 연구되고 있는 것을 기반으로 사실적인 재현을 하기보다는 [[쥬라기 공원 시리즈]]나 [[킹콩(2005)|킹콩]]과 같은 매체에서 등장하는 크고 강력한 [[괴수]]같은 모습들에 가까운 형태들이 많다. 물론 이도 게임 내 밸런스와 세부 디자인적인 요소에 따라 갈리기에 [[파라사우롤로푸스]]와 같이 현실의 것보다 작고 힘없는 모습이 된 경우도 있고, [[파라케라테리움]]이나 [[앤드류사르쿠스]]처럼 학계의 복원도들과 큰 차이가 없는 생물들도 있다. 한편, [[ARK: Scorched Earth|스코치드 어스]]를 기점으로 현실에 살았던 동물들이 아닌 [[신화]]나 [[전설]]에 기반을 둔 [[환상종]] 생물들이 대거 추가되었다. 사실 아일랜드의 3종 보스와 [[유니콘]], [[예티]], 아예 분류를 알 수 없는 아라네오 등 스코치드 어스 이전에도 환상종은 존재하였으나, 아예 규격 외의 보스거나 이스터에그 급의 희귀 생물, 아라네오의 경우 '[[선사 시대]]' 하면 무조건 현대보다 크기가 클 것이라는 인식과 아크의 정확한 배경 설정 자체가 알려지지 않았었기 때문에 대충 고대 거미이겠거니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었다. 그러나 스코치드 어스에서 추가된 [[와이번]]이나 [[몽골리안 데스웜|데스웜]], [[불사조|불새]]는 유명한 [[신화]]와 [[전설]], 여러 [[판타지]] 장르를 거쳐 등장해온 몬스터들이기에 인지도가 높고 아예 맵 자체에서 메인으로 밀어주는 생물들이라는 것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후 [[아크 라그|라그나로크]]에서도 [[그리핀]]을 추가하였다. 그러나 적어도 실제 역사상에서 오래 존재했던 [[신화]]들을 기반으로 한 위의 환상종들과는 달리 [[에버레이션]]과 [[익팅|익스팅션]]부터는 아예 [[락 드레이크]]와 같은 아크 세계관 고유의 생물들이 하나둘 추가되기 시작하였으며, 제네시스 DLC에서는 아예 신규 추가 생물 전체가 세계관만의 생물들로 이루어져있다. 적어도 익스팅션까지는 [[흰올빼미]]나 [[북유럽 신화]], 영화 [[에이리언 시리즈]], [[고지라 시리즈]]와 같은 현실의 동물이나 전설, 작품과 같은 요소들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이 적게나마 존재하지만 제네시스부터는 그런 것도 없는지라 이러한 변화에 대해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반면 무료 DLC맵 추가 생물들은 [[아크 라그|라그나로크]]를 제외하면 신규 추가 생물들은 대부분이 고생물들이나 현존하는 동물들을 기반으로 한 생물들이 주로 추가되었다. 또한 위의 아크 세계관 고유 생물들이 범람하는 것에 불호 여론이 강해지는 것을 의식한 결과인지는 모르나, 리마스터판인 [[ARK: Survival Ascended]]에서 스코치드 어스에 신규 고생물을 추가시키는 공모전을 여는 등 다시 출시 초기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특정 이벤트 한정으로 스폰되는 특수 생물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대개 기존 생물을 재활용한 생물들이다. 할로윈이나 추수감사절 등 몇몇 이벤트마다 특수한 조건으로 정해진 시간동안 조련된 상태로 소환되는 [[도도렉스]] 정도를 제외한다면 사실상 조련이 불가능한 생물들이다. 모바일 버전의 아크는 PC 버전의 바닐라 생물 구성과 거의 같으나, 아일랜드 고유 보스 대신 던전이라는 구조물과 기존 생물을 변형한 보스들이 존재한다. 메가피테쿠스와 브루드마더는 그대로 사용되었으나, 명칭이 변경되어서 나오며 라그나로크의 생물인 그리핀을 변형한 로얄 그리핀이 존재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